주로 설치와 영상 매체로 작업한다. 최근에는 맹점, 양안시차, (흐릿한)초점, 역상과 같은 시각적 오류 현상에 빗대어 ‘본다’는 행위의 근원적인 역설을 살피고, 시각적 맹신의 바깥에 존재하는 것들을 상상하며 작업한다. 때때로 영상의 내용 뿐 아니라 스크리닝의 방식을 주제와 연관된 설치로 풀어낸다. 여기에는 스크린을 거울처럼 서로 마주보게 하거나 반대로 등을 맞대게 설치하여 전체의 이미지를 볼 수 없도록 하고, 이미지를 이중으로 중첩시키거나 초점 거리를 엇나가게 하여 의도적으로 흐린 이미지를 만드는 등의 다양한 보기 실험이 포함된다.
이러한 방식들은 우리가 [본다는] 지각 행위에 매몰되어 간과하는 것, 혹은 그 전제 자체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다. 확실하다고 생각하는 것, 믿어 의심치 않는 것 너머에 [볼 수 없는 영역으로] 비워져 있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감지할 것인가.
2023년 《스크리닝》(테미예술창작센터, 대전)에서는 '스크린'이라는 단어의 이중적 정의로부터 출발해 그 어느 때보다도 촉각적으로 느껴지는 스크린과 그 위에 맺히는 이미지들이 우리의 감각, 기억, 신체와 어떻게 단절되어있는지를 살폈다. 한편 2022년 《과와 와, (띄고) 쉼표》(아트스페이스 보안3, 서울)에서는 분리된 두 개의 이미지 사이의 공백에 초점을 맞추어 간극을 뛰어넘는 연결된 보기를 시도하고, 2021년 《After Image》(김희수아트센터, 서울)에서는 시차를 가진 이미지의 운동성을 겹쳐보며 잔상으로서의 이미지를 불러내는 작업을 한 바 있다.